본문 바로가기

IT 소식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2008년 이후 스마트폰은 삼성과 애플간의 기술경쟁으로 큰 성장을 이루었다. 애플의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이후 모든 스마트폰 업체들의 플랫폼이 되었다. 그리고 3G 통신망을 통한 음성 통화로 사람들 사이의 거리감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2011년에는 시리(Siri)’라는 음성 인식 기능이 인공지능 스마트폰으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최근 삼성전자가 발표한 갤럭시 S3나 갤럭시 노트2 등의 제품에는 홍채 인식과 자동 통화 연결 등의 기능 등이 포함되어 새로운 스마트폰 혁신의 가능성을 열었다

향후 3~5년간 모바일 시장의 이슈가 될 만한 기술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가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터치스크린, 음성 인식이나 홍채 인식을 넘어 이제는 개인 스마트폰의 형태와 소재마저 변해버리는 시대가 다가오는 것이다


각 세대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특징

  • 1세대(Durable) - 얇은 두께가벼움깨지기 어려움

이 단계에서는 휘는 정도의 탄성을 가지지는 못하고 단순히 유리뚜껑을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는 수준이다.

  • 2세대(Bendable) - 휘어짐, wearable, 곡면디자인

  • 3세대(Full Flexible) - 돌돌 말수 있다접을수 있다.

  • 4세대 (Disposable) - 종이같은저비용생산가능프린팅 방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플라스틱 기판 혹은 금속 등의 구부릴 수 있는 기판을 이용해 액정표시장치(LCD)·유기발광다이오드(OLED)·전자종이 등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형성함에 따라 접거나 구부리고 말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디스플레이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볍고 깨지지 않기 때문에 모양을 여러 가지로 제작할 수 있어 IT관련 제품 뿐만 아니라 의류나 종이재질의 매체 등에서도 응용과 대체가 가능하여 새로운 시장을 열 수 있다.

 이번에 열린 2013 CES에서 삼성과 LG가 공개한 곡선형 OLED TV는 곡면 디자인 자체에서 나오는 입체감이 더해져 사용자의 몰입감이 더욱  높아진다고 한다. 공개전 관련 매체들은 디스플레이 자체가 휘어지면서 화면의 영상이 왜곡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으나 실제 발표된 제품의 화면에서는 어느 위치에서나 사용자와 화면의 거리가 일정한 느낌을 주어 편안한 시청이 가능하다고 평가되고 있다.

 youm-standard-flexible-oled-lcd



삼성 뿐만이 아니라 LG, 필립스, 샤프, 소니, 노키아 등의 업체들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선점을 위해 개발이 진행중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LG는 이미 Flexible e-link display의 생산을 시작했다.  LG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폰을 올해 하반기 쯤에 출시할 계획을 보이면서 타 경쟁사들과의 기술 경쟁에 튀쳐지지 않으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애플 또한 새로운 IT시장의 블루 오션에 뛰어들기 위해 박차를 가하는 과정이 최근 포착되었다.애플의 제품 정보를 제공하는 영국의 맥월드에 따르면 아이폰6가 유연하며 구부러지는 몸체와 디스플레이를 가질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다.

애플은 이미 작년 9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된 전자기기에 대한 특허를 신청하여 법적 안전장치를 마련하였다. 애플이 출원한 특허는 단말기의 케이스디자인에 맞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한다. 키보드 또한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만들수 있다. 애플의 디자인은 오목 디스플레이, 홈버튼, 이어피스를 가진 아이폰 목업같은 모양을 보여준다.


 

그리고 작년 12월 말에는 애플이 유리에 고온의 열을 가하고 몰드에 넣어 원하는 형태, 즉 플렉서블한 형태의 유리를 만드는 내용의 특허를 취득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애플의 플렉서블 기기의 구현에 한 발 더 앞서나간 것을 알 수 있다.


노키아 또한 2011년 10월 영국 노키아월드 행사를 통해 본체가 휘어지는 스마트폰의 프로토타입을 공개하여 일찍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과 상용화를 표현한 바 있다. 당시에 공개된 키네틱 디바이스는 단순히 휘어지는 기능 뿐만 아니라 휘는 패턴이나 방식을 인식하여 이를 소프트웨어 사용자의 인터페이스에 반영하는 기능까지 알려져 화제를 모았다.



캐나다 퀸즈대학이 인텔연구소, 플라스틱 로직사와 공동으로 개발하여 이번 지난 CES에서 선보인 페이퍼 탭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이 적용된 제품이다. 이 제품은 종이처럼 구부릴 수 있으며 떨어져도 부셔지지 않는다. 또한 하나가 아닌 수 개의 디스플레이를 연결하였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사무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업계에서는 올해 플렉서블 스마트폰이 출시될 것이라는 예상을 희망사항 정도로 보고 있다. 관계자들은 기술 개발은 이미 성공하였지만 이 기술이 실제로 출시가 되려면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제품 내부의 부품까지 모두 휘어야 하는데 현재 휘어지는 배터리가 개발되지 않았다며 올해 플렉서블 스마트폰 출시설을 시기상조로 전망하고 있다.

미래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A4용지처럼 쓰이게 될 것이고, 1장짜리 e-paper로 신문을 보고 다 보면 쓰레기통에 버리는 그런 시대가 올 것이다. 그만큼 저비용 생산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존 아몰레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넘어가면 현재의 아몰레드 디스플레이에 들어가는 유리를 전부 플라스틱으로 바꾸면 무게가 가벼워진다.

 

한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구현될 때 필수적인 OLED에서도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있기 때문에 굉장히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업체로는 삼성전자·제일모직·삼성테크윈·하이쎌·아이컴포넌트·상보·코오롱인더스트리 등이 있으며 최근 2013 CES에서 삼성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마트 기기 시제품 공개을 선보이기도 했다.



관련기사 -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751966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30117140238&type=xml